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한국 영토가 안전할 수 있겠는가”라며 직접적인 위협성 발언을 내놨습니다. 그는 평양에서 열린 무장장비 전시회에서 ‘특수자산을 중요 관심 표적에 할당했다’고 언급하며, 한미 핵동맹을 겨냥한 ‘힘의 균형 유지 조치’를 시사했습니다. 이에 대통령실은 “대화와 협력의 길에 동참하라”며 외교적 해법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김정은 발언의 의도와 군사적 신호
이번 발언은 경고 차원이 아니라, ‘핵 억제력의 실질적 사용 가능성’을 과시하려는 목적이 짙습니다.
최근 북한이 공개한 ‘화성-11마’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극초음속 탄두를 탑재한 것으로 추정돼 대남 공격 전력의 실전 배치 신호로도 읽힙니다. 이는 한미일 3국의 안보 공조 강화, 그리고 한미 핵협의그룹(NCG) 가동 이후 북한이 체제 불안을 느낀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대통령실의 ‘대화’ 메시지와 외교적 현실
대통령실은 “긴장을 조성하는 군사행동 대신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서라”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앞서 유엔 총회 연설에서 ‘END 이니셔티브’를 제안하며 비핵화와 평화정착을 위한 외교적 해법을 강조해 왔습니다. 또한 이산가족 생사 확인을 위한 편지 교환 제안도 재차 언급했지만, 북측은 여전히 무응답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이는 북한이 단기적으로 러시아·중국과의 밀착 노선을 더 우선시하는 흐름으로 풀이됩니다.
END 선언 뜻|이재명 대통령 UN 총회 연설과 단계적 비핵화 의미 총정리
END 선언, 그게 뭔데?요즘 뉴스 보신 분들, 갑자기 ‘END’라는 단어가 튀어나와서 갸우뚱했을 겁니다. 끝낸다(End)라는 의미는 아니고, 외교 무대에서 쓰이는 약자예요. Exchange(교류) → Normalization(
emaster.ambitstock.com
러시아·중국 밀착, 그리고 북한의 외교적 계산
북한은 러시아와의 군사 협력 1년차를 맞아 “국제사회 고립 속 생존 모델”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무기·탄약 지원을 통한 러시아 협력은 제재 회피와 기술 교류의 수단이 되었고, 최근에는 중국과의 관계 회복도 빠르게 진행 중입니다. 이는 북한이 “핵 보유국 지위 인정”을 염두에 둔 외교 삼각축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결국 한국·미국의 제재만으로는 북한의 외교 공간을 완전히 차단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한미 관세 협상과 APEC, 새로운 변수
이와 별개로, 대통령실은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한 긴급회의를 개최했습니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APEC 정상회의 불참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한미 경제 외교가 ‘당일 회담’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미 간 3,500억 달러 투자 및 반도체·전기차 보조금 협의는 대통령실의 주요 의제로, 이번 정상회담이 실질적 합의의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2025.10.04 - [정치경제이슈] - 경주 APEC 일정 1박2일 방한 계획…트럼프의 APEC 불참 시사 & 한미 정상회담 불확실성
경주 APEC 일정 1박2일 방한 계획…트럼프의 APEC 불참 시사 & 한미 정상회담 불확실성
2025년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는 글로벌 무대의 핵심 이벤트가 될 전망이에요. 그런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박2일’의 초단기 방한을 택하며 정상회의는 거를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
emaster.ambitstock.com
한반도 긴장 속 경제 리스크
정치·외교 갈등이 고조되면 외환시장과 에너지 가격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반도 리스크 프리미엄’을 반영해 단기 국채·원화 자산에 대한 비중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방위산업·정보보안·에너지 자립 관련주는 단기 수혜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이번 김정은 발언은 안보 리스크를 넘어 경제 파급력이 있는 이슈로 봐야 합니다.
정리
북한의 군사적 도발 가능성이 다시 높아진 가운데, 대통령실은 ‘힘의 균형’보다 ‘대화의 복원’을 선택했습니다. 러시아·중국과의 밀착 속에서도 북한이 다시 협상 테이블로 나올 수 있을지, 그리고 한미 경제 협상이 외교적 균형점으로 작동할 수 있을지가 10월 한반도 외교·경제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정치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통령실 관세협상, 한미 긴급회의 개최|러트닉 美상무장관 회담 이후 ‘국익 최우선’ 방침 (0) | 2025.10.05 |
---|---|
중국 해양조사 상습 방해, 우리 해양주권의 현실 - 서해 PMZ 해역 (0) | 2025.10.05 |
MASGA 프로젝트란? 그 뜻과 핵심 정리: 트럼프式 제조업 르네상스, 조선업이 그 중심? (0) | 2025.10.04 |
경주 APEC 일정 1박2일 방한 계획…트럼프의 APEC 불참 시사 & 한미 정상회담 불확실성 (0) | 2025.10.04 |
국정자원 화재 전산망 장애 복구 현황 : 17% 복구, 11일까지 정상화 목표 (0)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