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0일(현지시간), 뉴욕 증시가 충격적인 약세를 보였어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100% 추가관세를 예고하면서 무역 긴장이 재점화되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급락하고 S&P, 다우까지 하방 압력을 받았습니다. 오늘의 폭락 원인과 시장 반응, 향후 전망까지 정리해드릴게요.
10일 장 마감 지수 요약
지수 | 변동폭 | 종가 | 하락률 |
---|---|---|---|
나스닥 종합지수 | −820.20p | 22,204.43 | −3.56 % |
S&P 500 | −182.60p | 6,552.51 | −2.71 % |
다우존스 30 | −878.82p | 45,479.60 | −1.90 % |
주요 기술주 주가 흐름
- 엔비디아(NVIDIA): –4.85% ↓ (종가 약 $183.16)
- 테슬라(Tesla): –5.06% ↓
- 애플(Apple): –3.45% ↓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2.19% ↓
- 구글 (Alphabet): –1.95% ↓
- 아마존(Amazon): –4.99% ↓
- 메타(Meta): –3.85% ↓
폭락의 키 포인트: 관세 전면 재개 우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가 폭탄이 됐습니다.
11월 1일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100% 추가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표한 것이 직접적인 촉매였고, 여기에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가 맞불로 작용하면서 시장엔 무역 전면전 재개 우려가 삽시간에 퍼졌죠.
이 불확실성이 기술주 중심의 고밸류 기업들에게 직격탄이 됐어요.
과거 비슷한 조정 흐름과 참고 사례
2025년 초반에도 유사한 조정이 있었어요.
트럼프의 대규모 관세 발표가 글로벌 투자 심리에 충격을 주면서 미국 증시는 급락 반응을 보였고, 이를 계기로 불확실성이 확대된 적이 있거든요. 이번 하락도 그 연장선상에 있는 셈이고, 기술기업들은 무역 노출도와 향후 수익 전망이 민감한 만큼 더욱 예민하게 반응한 거예요.
투자자 대응 전략 및 관전 포인트
- 밸류에이션이 부담된 기술주 중심의 추가 조정 가능성 염두
- 방어 섹터(유틸리티·헬스케어 등) 상대적 강세 가능성
- 환율·원자재 흐름 체크 — 달러 강세 방어력 영향
- 글로벌 무역 협상 방향성 변화 발표 여부
- 심리 변곡점: VIX 지수, 옵션 프리미엄, 공포지표 등
정리
이번 나스닥 폭락은 단편적인 조정이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관세 전면 확대 예고와 중국의 대응 조치가 겹치며 무역 및 지정학 리스크가 증시에 급작스럽게 반영된 것이죠. 특히 기술주들이 이러한 리스크에 가장 취약했고, 대형주 전반이 동반 약세를 보였어요.
앞으로는 무역 협상 전개, 통화 흐름, 글로벌 수요 둔화 여부가 증시 반등 또는 추가 조정의 열쇠가 될 겁니다.
'정치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중국 관세, “중국산 전면 100% 추가 관세 부과” 선언|미·중 무역전쟁 다시 불붙다 (0) | 2025.10.11 |
---|---|
트럼프 노벨평화상 수상 불발 이후 입장 표명|“2024년엔 대선 출마 중이었다” (0) | 2025.10.11 |
트럼프, 관세로 中희토류 맞대응 - 미중 관세무역전쟁 재개와 나스닥 폭락, 11월 1일 중국산 수입품 100% 추가관세 선언 (0) | 2025.10.11 |
백악관 공무원 해고 미국 셧다운 장기화 - 공무원 해고 돌입 & “130만 군인 급여 미지급” 위기 (0) | 2025.10.11 |
트럼프, 가자 평화협상 진전. 이스라엘 가자지구 지도와 전쟁 이유, 중동 전쟁 휴전협상으로 종식될까? (0) | 202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