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통화스와프의 개념과 필요성을 살펴봤다면, 이제는 “그럼 한국은 지금 어디랑 스와프를 맺고 있지?”라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나옵니다. 미국과는 과거 위기 때마다 한시적으로 맺은 적이 있지만, 상시 협정은 아닙니다. 그 대신 아시아와 주요 교역국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스와프를 체결해왔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한국이 보유한 통화스와프 네트워크를 국가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통화 스와프의 뜻 부터 이재명 대통령의 IMF 발언의 의의에 대해 포스팅으로 자세히 다뤄보았습니다.
아래 이전포스팅을 통해 지식 한모금 추가해보시길 바랍니다.
2025.09.23 - [생활경제] - 통화 스와프란? 왜 자꾸 얘기 나오나?|이재명 대통령 IMF 발언의 배경과 스와프 뜻, 무역협상 이야기
통화 스와프란? 왜 자꾸 얘기 나오나?|이재명 대통령 IMF 발언의 배경과 스와프 뜻, 무역협상 이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미국과의 협상 자리에서 “통화스와프 없이는 IMF 사태가 다시 올 수 있다”라는 발언을 했다고 합니다.단어만 들어도 섬뜩한 IMF… 외환위기를 겪었던 세대에게는 아직도
emaster.ambitstock.com
한국의 주요 통화스와프 현황 (2025년 기준)
2025년 현재 한국은 약 1,300억 달러 이상 규모의 상설 통화스와프 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시아 국가들과의 협정 비중이 높고, 이는 무역 비중과도 연결됩니다.
국가/지역 | 규모 (달러 환산) | 특징 |
중국 | 약 560억 달러 | 원·위안 직거래 비중 확대, 교역 규모 커서 활용도 높음 |
호주 | 약 72억 달러 | 자원 수입국, 위기 시 달러 외에도 호주달러 조달 가능 |
인도네시아 | 약 100억 달러 | 신흥시장 중심 스와프, 교역 안정성 강화 |
UAE | 약 56억 달러 | 원유 수입국과의 안정적 거래 기반 |
말레이시아 | 약 47억 달러 | 아세안 지역 금융협력 차원 |
터키 | 약 22억 달러 | 신흥시장 불안 대비 목적 |
캐나다 | 무제한 상설 | 先진국과 체결한 몇 안 되는 무제한형 스와프 |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왜 특별할까?
미국과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당시 한시적 스와프를 체결한 적이 있습니다. 규모도 수백억 달러로 상당했죠. 다만 상시 협정은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 다시 열릴 수 있는 문이지만 현재는 닫혀 있는 상태입니다.
미국과 스와프를 맺으면 ‘달러를 직접 빌릴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니, 시장에서는 가장 강력한 안전망으로 평가합니다.
통화스와프가 우리 경제에 주는 의미
- 환율 안정: 원·달러 환율 급등 시 “우린 외화 유동성 확보할 수 있다”라는 신호를 시장에 줄 수 있습니다.
- 무역 결제 안정: 특히 원자재·에너지 수입국과의 스와프는 실제 결제 리스크를 줄여줍니다.
- 심리적 방파제: IMF 트라우마가 있는 우리나라에서, 스와프는 투자자·기업·국민 모두에게 심리적 안정 효과를 줍니다.
한계도 분명히 있다
하지만 통화스와프가 만능은 아닙니다. 규모가 한정적이거나, 상대국 정치·경제 상황에 따라 실제로 쓸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미국과 같은 기축통화국과의 협정이 아니라면, 달러 확보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죠.
결국 스와프는 ‘보조 안전망’이고, 근본적으로는 외환보유고 관리, 무역수지 개선, 금융시장 신뢰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정리하자면
한국은 중국·호주·UAE·캐나다 등 여러 나라와 스와프 네트워크를 구축해왔습니다. 하지만 시장이 원하는 건 결국 미국과의 상시 스와프입니다. 달러는 전 세계 무역과 금융의 기본 통화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앞으로 정부가 얼마나 전략적으로 스와프를 재개하고, 동시에 무역수지와 외환보유고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한국 경제 안정의 관건이 될 겁니다.
이어서 만약 통화 스와프가 끊기면 대한민국 경제는 어떻게 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통화스와프가 끊긴다면?|한국 경제에 닥칠 시나리오
앞서 통화스와프의 개념과 한국의 협정 현황까지 살펴봤습니다.이번에는 “그럼 만약 스와프가 없어진다면, 한국 경제는 어떤 상황을 겪을까?”라는 가정 시나리오를 다뤄보려 합니다.이론적
emaster.ambitstock.com
'생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약 통화스와프가 끊긴다면?|한국 경제에 닥칠 시나리오 (0) | 2025.09.23 |
---|---|
통화 스와프란? 왜 자꾸 얘기 나오나?|이재명 대통령 IMF 발언의 배경과 스와프 뜻, 무역협상 이야기 (0) | 2025.09.23 |
전세자금대출 vs 월세대출 비교|2025 조건·혜택·추천 선택 기준 (0) | 2025.09.20 |
2025 전세자금대출 조건 금리 한도 총정리|청년·신혼부부·서민 혜택까지 (0) | 2025.09.20 |
전세대출 갈아타기 조건 & 단점 주의사항|금리 낮출 기회, 함정까지 확인 (0)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