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컴퓨터 기업들의 주가가 폭락했습니다. 불과 어제까지만 해도 ‘차세대 기술혁명’으로 주목받던 양자컴퓨팅 4인방(아이온큐·리게티·디웨이브·퀀텀컴퓨팅)이 고평가 논란 속에 일제히 급락하며 시장의 거품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대표 양자컴퓨팅주 주가 현황
기업명 | 하락폭 | 종가(USD) | 하락률 |
---|---|---|---|
아이온큐 (IonQ) | -6.85 | 70.65 | -8.84% |
리게티 컴퓨팅 (Rigetti) | -3.19 | 43.92 | -6.77% |
퀀텀 컴퓨팅 (Quantum Computing Inc.) | -2.30 | 19.02 | -10.81% |
디웨이브 퀀텀 (D-Wave Quantum) | -2.05 | 33.02 | -5.85% |
폭락 이전의 ‘텐배거’ 랠리
불과 1개월 전까지만 해도 양자컴퓨팅주는 투자자들의 ‘꿈의 테마’였습니다. 2025년 9월 이후 단 39일 만에 리게티 컴퓨팅은 주가가 3배 급등했고, 디웨이브 퀀텀은 9개월 만에 10배가 오르며 ‘텐배거’가 됐습니다. 아이온큐는 80% 이상, 퀀텀컴퓨팅은 30% 이상 급등하며 기술주 버블의 상징으로 떠올랐습니다.
하지만 실적은 그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4개 기업의 올해 2분기 매출은 합계 2,600만 달러 수준에 불과하지만, 시가총액은 550억 달러로, GM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그 결과 “미래 혁신주냐, 투기 버블이냐”는 논쟁이 다시 불붙었어요.
양자컴퓨팅의 가능성과 현실의 괴리
양자컴퓨팅은 기존 반도체의 계산 한계를 넘어서려는 기술로, 데이터 암호화·신약 개발·기후 시뮬레이션 등에서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받습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인류가 불을 발견한 이후 가장 큰 기술혁명”이라 표현했죠. 하지만 현실은 아직 매출이 거의 없는 ‘실험단계’입니다.
- 아이온큐: 2030년 흑자 목표 → CEO 교체 이후 언급 없음
- 리게티: 연 매출 약 800만 달러, 시총 140억 달러 (PSR 1750배 수준)
- 디웨이브: 기술력은 있지만 여전히 적자 구조
- 퀀텀컴퓨팅: 최근 상승세 후 급락으로 불안한 밸류에이션
이런 괴리 때문에 “더 큰 바보 이론”이 적용된다는 평가가 많아요. 누군가 더 비싼 가격에 사줄 거라는 믿음으로 주가가 계속 오르지만, 그 ‘더 큰 바보’가 사라지는 순간 거품은 붕괴할 수 있다는 뜻이죠.
버블인가, 성장 초입인가?
전문가들 의견은 극명히 갈립니다.
한쪽은 “양자컴퓨팅의 상용화까지는 최소 10년 이상 남았으며 지금은 투기 국면”이라 경고합니다.
반면 낙관론자들은 “2035년 2조 달러 시장 형성”이라는 맥킨지·BofA의 장기 전망을 인용하며 현재의 고평가를 ‘혁명 전의 과도기’로 보고 있습니다.
투자자 유의 포인트
- 양자컴퓨팅은 장기 성장 산업이지만 아직 수익화 모델 불명확
- 단기 급등 후 조정 가능성 높음 — 고평가 종목 중심 리스크 관리 필요
- 기술 검증 및 대형 IT기업(IBM, 구글 등) 진입 시점에 주목
- 테마 변동성 큰 만큼 ETF 분산투자 또는 헤지 전략 고려
정리
양자컴퓨팅은 분명 미래 산업의 핵심이 될 가능성이 높지만, 2025년 현재 주가 수준은 기술 가치보다 ‘기대감’이 훨씬 앞서 있습니다. 단기 급등 후 조정은 당연한 흐름이며, 실적 기반의 투자전략으로 돌아서는 것이 안전한 접근법입니다. 지금의 하락은 버블 붕괴의 신호일 수도, 미래 혁신 전야일 수도 있습니다. 결국 시장은 시간과 실적으로 답할 것입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 트럼프 “시진핑 만날 일 없을 듯” | 블랙먼데이? 월요일 나스닥 어쩌나 (0) | 2025.10.12 |
---|---|
팀 쿡 애플 CEO 사임 임박설|유력 후보 애플 후계자는 존 터너스? 65세 생일이 기점인가 (0) | 2025.10.12 |
비트코인 최고가 경신 $125,689|상승 이유와 ‘왜 지금 수요가 몰리나’ 총정리 (1) | 2025.10.05 |
2025 금리 인하 수혜주 TOP5, 지금 주목해야 할 테마 (0) | 2025.10.01 |
주식 투자 재무제표 분석 용어 총정리! (매출총이익률, 주가수익률, 시장 가치, 현금흐름, 자산회전률) (4)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