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초보자를 위한 재무제표 용어 분석 정리
주식투자 초보자를 위한 재무제표 기본 용어 16가지 정리 포스팅입니다.
해당 포스팅을 시작으로 각 용어의 자세한 설명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실제 예시를 바탕으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된 내용을 확인해 보시고 주식 투자 고수익의 길에 들어서길 바랍니다.
재무제표의 기본 PER PBR EPS 삼 형제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정의
주가가 주당 순이익(EPS)에 비해 얼마나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식
PER = 주가 / 주당 순이익(EPS)
의미
PER이 높으면 해당 주식이 고평가 되어 있다는 의미일 수 있고, 낮으면 저평가된 주식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업종 특성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래 성장성을 주가에 반영한 바이오주, AI주는 그 성장성에 대한 주식투자자들의 선매수로 인하여 현재 순이익이 낮음에도 높은 주가를 형성하게 됩니다. 즉, 높은 PER를 가졌지만 고평가가 아닌 업종도 있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PBR (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정의
주가가 주당 순자산(자본금)에 비해 얼마나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식
PBR = 주가 / 주당 순자산(BPS)
의미
PBR이 1 미만이면 주식이 순자산 대비 저평가되어 있을 수 있다는 신호입니다.
1 이상이면 고평가 될 수 있습니다.
EPS (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정의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발행한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계산식
EPS = 순이익 / 발행주식수
의미
E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PER 계산 시 중요한 지표입니다.
자본과 자산, 그리고 배당수익률에 관하여
ROE (Return on Equity, 자기 자본이익률)
정의
기업이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식
ROE = 순이익 / 자기 자본
의미
ROE가 높으면 기업이 자기 자본을 잘 활용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15% 이상을 좋은 ROE로 봅니다.
ROA (Return on Assets, 총 자산이익률)
정의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식
ROA = 순이익 / 총 자산
의미
ROA가 높을수록 자산을 잘 활용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배당수익률 (Dividend Yield)
정의:
주식에서 얻을 수 있는 연간 배당금 수익률을 나타냅니다.
계산식:
배당수익률 = 연간 배당금 / 주가
의미:
배당금 지급이 매력적인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에게 중요한 지표입니다.
높은 배당수익률을 제공하는 기업은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파트 2에서 이어집니다.
'초보자를 위한 재무제표 뿌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 재무제표 분석 용어 총정리! (매출총이익률, 주가수익률, 시장 가치, 현금흐름, 자산회전률) (4) | 2024.12.22 |
---|---|
주식 투자 초보자를 위한 재무제표 분석 용어 총정리!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부채, 유동, 자기자본비율) (5) | 2024.12.21 |